The Line Cutting a Circle

The Line Cutting a Circle

원을 베어버린 사선_옵셋 프린트_50x70cm (12페이지)_2018
The line cutting a circle_offset print_50x70cm (12pages)_2018

시간이라는 비시각적 주제가 스스로를 드러내고, 목격되어지는 현실 공간으로 나는 재개발, 뉴타운 지역과 사회적 갈등 지역에 주목하고 있다. 이 지역이 주는 다양한 의미가 다양한 층위의 레이어로 작업의 모티브가 된다. 특히 여러 가지 사회적 논리가 얽히고설켜 그 시작과 함께 멈추어버린 곳. 개인적 욕망과 사회적 욕망이 극단으로 충돌하고, 그로인한 폭발, 거기서 발생한 에너지 같은 그 무엇들이 유령처럼 떠도는 곳. 모든 사적 시간들은 거대한 블랙홀에 가두어지고, 순리로서의 원형의 시간이 직선으로 가로 잘려 보이지 않던 머리와 꼬리가 생겨나고, 하나의 질량으로 목격되어지는 곳. 그 어느 현실의 장소보다 현실적인이지만 애써 거리두기로 변두리가 되어버린, 그래서 오히려 우리의 삶을 관망케 하는 곳. 무생물로 여겨지나, 태어나 자라고 늙어 죽어가길 반복하는 우리 내 삶과 다르지 않은 곳.
작업은 이러한 여러 장소들에서 찾은 다른 연도의 12달 달력을 현장에서 기록한 것이다.

… I take notice of actual places such as redevelopment zones and new town areas where social conflict occurs. This is where the theme of time and space shows its face and is witnessed. Various meanings these areas have motivate the work, which also has a variety of layers.
These places are where personal desires of community, family, and friends conflict with social desires of redevelopment and economic prosperity. In the wake of this conflict is some kind of energy that haunts like a ghost, where all of private time is confined to a huge black hole. Where time that is cyclical, as are the laws of nature, gets redirected into a straight line and we can glimps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like the head and tail of a coin allat once. In these places, too, are marginalized communities, cut off and disenfranchised with current socio-economics and which is regarded as nonliving yet has life. These communities are born, grow up, get old and die in succession just like us and our lives. …

… 이창훈 작가가 시-공간을 다루는 입장은 무척 특이하다. 그에게 시간이란 물리적으로는 원형으로 닫힌 모양이자 사선으로 베어질 공간까지 포함한다. 사회적으로는 우리가 합의하고 표준화 하여 따르는 시간과 결이 어긋난 또 다른 차원의 시간을 포함한다. 여기에 덧붙여 그는 달력이 표기하는 시간과 촬영된 시간 사이가 진공의 틈이며 이는 관객이 감각의 차원에서 느낄 비시각적 시간의 질량이라고 규정한다. 시간의 질량이니 감각의 차원이니 그리고 시간을 베어버린 다니. 여느 작품처럼 재개발이나 정책과 같은 사회문제가 주제라고 단정하기엔 너무나 추상적인 설명이다. 동시에 과학의 언어도 감지된다. 혹시 양자역학인가? 필자는 리셋 되고 동시에 베어져 독립적인 시간이 여럿 공존하는 개념에서 양자역학적 시-공간관, 더 나아가 세계관을 상상했다. 작가의 철학은 양자 역학의 시-공간, 즉 다중우주를 염두에 둔 것일지도 모른다. 양자 역학은 빛이 파동이자 입자의 성질을 동시에 가진다는 사실에서 시작되었다. 더구나 빛이나 원자가 언제 입자로 행동할지 파동으로 행동할지는 확정되어 있지 않다. 이때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파동이거나 입자일 확률 뿐이다. 다만 입자/파동은 관측되는 순간 입자가 되고 그제서야 특정 시-공간으로 고정된다. 이를 발전시킨 초끈이론은 확률의 모든 가능성에 따라 각기 다른 미래, 즉 우주가 생성되며 결과적으로 세상에는 기하급수적인 숫자의 우주가 존재한다는 가설을 제안했다. 필자는 시간의 <원을 베어버린 사선>인 달력 작품은 작가가 달력을 관측함으로써 깨달은 다른 차원의 시-공간을 관객이 감각하게 하려 한 시도라고 해석했다. …

신현진 (예술학 박사)

원을 베어버린 사선_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_실제 달력 크기(x12), 가변설치_2016~2018
The line cutting a circle_archival pigment print_actual size of calendar(x12), variable installation_2016~2018

… The way Lee deals with time-space is quite peculiar. To him time is physically a closed circle, and includes space to be sliced off diagonally. Socially it includes another dimension of time that does not coincide with the standardized time we have agreed upon. In addition, Lee defines that there is a vacuum crack between the time marked by the calendar and the time of its photographing. That is the mass of non-visual time to be felt by spectators in the dimension of the senses. To talk of the mass of time, dimension of senses, and slicing time… The explanation is too abstract to conclude that the work is based on social issues such as redevelopment or government policy, like others’ works. At the same time, we sense the language of science. Is it quantum mechanics? I imagined a quantum mechanics view of time-space and even his worldview from his concept of multiple independent times as they were reset and sliced. Perhaps the artist’s philosophy considers the time-space of quantum mechanics—a multiverse. Quantum mechanics began from the fact that light has the properties of a wave and a particle at the same time. Moreover, it is undecided when light or an atom will act like a particle or like a wave. What we can know is only the probability of its being a wave or a particle. The particle/wave, however, becomes a particle in the moment it is observed, and only then is it fixed in a specific time-space. Super-String Theory, which is a development of this theory, made the proposition that a different future, or universe, would be created according to every possibility of the probability, and consequently the number of universes in the world would increase in exponential progression. I interpreted the calendar work of The line cutting a Circle as the artist’s attempt to have spectators feel the time-space in the different dimension he had experienced while observing the calendar. …

Hyunjin Shin (Ph.D. Art Criticism and Theory)